티스토리 뷰

반응형
마감 직전까지 미루고미루다 벼락치기로 일을 끝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분명 2시간 만에 끝낼 수 있는 일인데도 일주일의 기한이 주어지면 신기하게도 일주일을 모두 채워야 일이 끝이 난다. 
 
파킨슨의 법칙(Parkinson's Law)
파킨슨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업무배증의 원칙'이라고도 하는데, 업무는 주어진 기한만큼 증가하게 마련이라는 내용으로 1955년 영국의  Cyril Northcote Parkinson이라는 사람이 처음 주장했다(관련 책: Parkinson’s Law: The Pursuit of Progress).
 

 

Work expands to fill the time available for its completion.
 
불필요하게 업무를 복잡하게 만든다
실제로 업무를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보다 긴 기한이 주어졌을 때 괜히 업무를 복잡하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일주일이나 걸려 완성할만큼 중요한 일도 아니고 복잡한 일도 아닌데도 주어진 기한이 길면 그 사이에 추가적인 리서치를 한다거나 굳이 필요하지 않은 내용을 추가한다거나, 디테일에 집착한다거나, 괜히 수정에 수정을 거듭해서 주어진 기한 동안 할 일을 계속 만들어낸다.
 
스트레스와 긴장을 유발한다
업무를 만들어 내는 대신 마감기한까지 미뤄둘 수도 있다. 시험 전날 벼락치기로 공부를 한다거나 리포트 제출 전날 초인적인 힘을 발휘해서 어마어마한 양의 일을 해치우는 것도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이런 경우라도 일을 미루는 시간 동안 그 일에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있다면 '기한에 맞춰 업무가 증가한다'고 표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일을 안하고 있는 동안에도 해야 할 일이 마음의 짐으로 남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기한이 다가올 수록 그 스트레스는 점점 커지게 마련이다. 하지 않은 일이 머릿 속 한켠에 자리잡고 있는 동안은 다른 업무를 해도 효율이 나기 어렵다.
 
업무의 집중력이 떨어진다
야근을 밥먹듯이 하던 시절이 있었다. 물론 업무의 절대량이 많아서 퇴근이 늦기도 했지만 '어차피 오늘도 일찍 가긴 글렀다'는 생각이 들면 굳이 집중해서 일을 빨리 끝내려고 노력하지 않았다. 내가 업무를 마무리해도 일찍 갈 수 없는 상황이라면 최선을 다하지 않는다. 긴장감도 떨어지고 작업 속도도 느려진다. 
필요한 시간보다 길게 설정된 마감기한도 마찬가지 역할을 한다. 단위시간 당 집중력이나 업무의 퀄리티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타이트한 데드라인을 설정하자
실제 업무에 필요한 시간이 얼마인지 정확하게 판단하고 그에 맞는 기한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에게 주어진 데드라인이 따로 있더라도 정말 필요한 시간을 기준으로 스스로 좀 더 정확한 데드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결과물의 퀄리티는 들인 시간에 절대적으로 비례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데드라인을 앞당김으로써 업무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도 있다. 
특히, 정해진 기한이 없는 업무인 경우에는 무한정 늘어지기 마련이다. 
하다가 다른 급한 일이 생기면 제대로 마무리를 하지 않고 다른 일로 옮겨가기도 하고, 어려운 부분에서 막히면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괜히 지금까지 했던 부분만 무한 수정을 하기도 한다. 그러다보면 실제 들인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그 업무에 사로잡혀있는 듯한 기분이 들면서 피로가 쌓인다. 
 
'적절하고 타이트한 기한을 주는 것'과 '충분하지 않은 시간을 배분하여 결과물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업무 페이스를 파악하는 것과 그 업무의 우선순위에 걸맞는 적정 시간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예상하지 못했던 일에 대한 여유시간을 확보해두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얼렁뚱땅 데드라인에 포함되어 업무가 늘어나도록 해서는 안된다.
 

 

반응형

'생산성: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루는 습관을 고치기 위한 5가지 방법  (0) 2024.03.14
댓글